로드 짐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드 짐은 1965년 개봉한 영화로, 1등 항해사 짐이 무슬림 순례객을 버리고 도망친 죄책감에 방랑하다가, 산적에 대항하여 봉기를 돕고 영웅으로 칭송받지만, 결국 죽음을 맞이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피터 오툴, 제임스 메이슨 등이 출연했으며, 원작은 조지프 콘래드의 소설이다. 개봉 당시 평가는 좋지 않았지만, 2000년 영화 보존 아카이브에 의해 보존되었다.
이야기는 유능한 젊은 영국 상선 선원 짐이 선장 마를로 밑에서 1등 항해사로 승진하면서 시작된다. 그러나 짐은 부상을 입고 자바에 남겨진다. 다시 건강을 회복한 후, 그는 수백 명의 무슬림들이 메카로 순례하는 낡은 화물선 SS ''파트나''호에 승선한다. 누수가 심한 배에 폭풍이 몰아치자 승무원들은 공황 상태에 빠져 구명정에 올라타 승객들을 버린다. 짐은 약해진 순간에 그들과 함께한다.[1]
다음은 영화에 등장하는 배역, 배우, 그리고 일본어 더빙판 성우 정보를 정리한 표이다.
2. 줄거리
항구에 도착했을 때, 선원들은 멀쩡한 ''파트나''호가 그들보다 먼저 도착해 있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는다. 나머지 승무원들은 사라지지만 짐은 공식 조사에서 자신의 죄를 자백하고 항해 자격을 박탈당한다. 자기 혐오에 빠진 짐은 방랑자가 된다.[1]
어느 날, 그는 훼손된 화약 한 보따리를 구한다. 화물의 소유주인 스타인은 그에게 매우 위험한 일을 제안한다. 그것과 약간의 소총을 강을 통해 멀리 떨어진 파투산으로 운송하여 스타인의 오랜 친구이자 마을 족장인 두-라민이 현지 군벌인 더 제너럴이 이끄는 산적에 대항하여 봉기를 일으키도록 돕는 것이다.[1]
솜버그가 약속했던 모터보트를 스타인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뇌물을 받자, 짐은 늙은 스타인을 뒤로하고 원주민 선원 두 명과 함께 범선을 탄다. 목적지에 가까워졌을 때, 선원 중 한 명이 더 제너럴을 위해 일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그는 다른 선원을 죽이고 더 제너럴에게 경고하기 위해 도망친다. 짐은 붙잡히기 전에 화물을 숨기는 데 성공한다.[1]
짐은 고문을 받지만 위치를 발설하지 않는다. 이는 스타인의 무역 회사의 술 취하고 비겁한 에이전트인 코르넬리우스가 더 제너럴에 합류하면서 그를 놀라게 한다. 그날 밤, 소녀가 짐을 구출한다.[1]
짐은 무기를 분배하고 더 제너럴의 목책에 대한 공격을 계획한다. 그는 두-라민 족장의 아들인 와리스의 도움을 받는다. 피비린내 나는 격전 끝에 짐은 산탄 세례를 뚫고 화약 통을 산적의 마지막 요새로 밀어 넣어 더 제너럴과 함께 폭파시킨다. 코르넬리우스만이 더 제너럴의 숨겨진 보물과 함께 비밀 지하 방에 숨어 생존한다. 짐은 영웅으로 칭송받는다. 두-라민은 그에게 "주"로 번역되는 "투안"이라는 칭호를 수여한다.[1]
짐은 소녀와 함께 파투산에서 사는 것에 만족한다. 코르넬리우스와 솜버그는 악명 높은 살인 청부업자 "신사" 던컨 브라운과 그의 부하들을 고용하여 보물을 훔치고, 그 과정에서 그들은 발각되어 궁지에 몰린다. 교착 상태에서 브라운은 평화롭게 떠나겠다고 제안하지만 마을 사람들은 그를 믿지 않는다. 짐은 누구라도 죽는다면 자신의 목숨을 걸고 그들을 가게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브라운과 그의 부하들은 짙은 안개 속에서 떠나는 척하면서 보물을 향해 마지막 시도를 한다. 와리스와 짐은 그들을 처리하지만, 와리스는 치명상을 입는다.[1]
그 후, 스타인은 두-라민에게 짐을 살려달라고 간청한다. 두-라민은 짐이 다음 날 아침 떠나면 동의한다. 스타인은 짐에게 떠나라고 설득하지만 그는 거절한다. 다음 날 아침, 죽은 마을 사람들을 위한 장례 행렬이 시작되자 짐은 두-라민에게 걸어가 마을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기다린다. 두-라민이 그를 쏘고 짐의 시신은 행렬에 추가되어 죽은 사람들의 화장으로 끝난다.[1]
3. 등장인물
배역 배우 TBS판 NET판 로드 짐 피터 오툴 키노시타 히데오 이노우에 타카오 브라운 제임스 메이슨 아메모리 마사시 이케다 타다오 코르넬리우스 쿠르트 위르겐스 스나가 히로시 요코모리 히사시 장군 엘리 왈라크 오오츠카 치카오 호즈미 타카노부 말로우 잭 호킨스 시오미 류스케 후지모토 죠 스타인 폴 루카스 치바 코이치 미야가와 요이치 소녀 달리아 라비 숌버그 아킴 타미로프 드 라민 촌장 사이토 타츠오 와리스 이타미 주조 이시모리 타츠유키 파트나호 선장 월터 고텔 프랑스 장교 크리스티앙 마르캉 브리어리 앤드루 키어 로빈슨 잭 맥고런 말레이 에릭 영 "파트나" 재판 법정의 체스터 선장 노엘 퍼셀 장로 마른 메이틀랜드 치안 판사 A. J. 브라운
TBS판은 1971년 3월 29일 월요 로드쇼에서, NET판은 1975년 7월 6일 일요 영화 극장에서 처음 방송되었다.
3. 1. 주요 인물
배역 배우 일본어 더빙 (TBS판) 일본어 더빙 (NET판) 로드 짐 피터 오툴 키노시타 히데오 이노우에 타카오 브라운 제임스 메이슨 아메모리 마사시 이케다 타다오 코르넬리우스 쿠르트 율겐스 스나가 히로시 요코모리 히사시 장군 엘리 왈라크 오오츠카 치카오 호즈미 타카노부 말로우 잭 호킨스 시오미 류스케 후지모토 죠 스타인 폴 루카스 치바 코이치 미야가와 요이치 소녀 달리아 라비 숌버그 아킴 타미로프 드 라민 촌장 사이토 타츠오 와리스 이타미 주조 이시모리 타츠유키 파트나호 선장 월터 고텔 프랑스 장교 크리스찬 말칸
TBS판은 1971년 3월 29일 월요 로드쇼에서, NET판은 1975년 7월 6일 일요 영화 극장에서 처음 방송되었다.[1]
3. 2. 조연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
TBS판 | NET판 | ||
코르넬리우스 | 쿠르트 위르겐스 | 스나가 히로시 | 요코모리 히사시 |
장군 | 엘리 웰라치 | 오오츠카 치카오 | 호즈미 타카노부 |
말로우 | 잭 호킨스 | 시오미 류스케 | 후지모토 죠 |
스타인 | 폴 루카스 | 치바 코이치 | 미야가와 요이치 |
4. 제작
리처드 브룩스는 1957년에 조지프 콘래드의 소설 《로드 짐》의 영화 판권을 획득했다.[3] 영화는 영국 셰퍼톤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으며, 캄보디아 앙코르 와트, 홍콩, 말레이시아 말라카 등지에서 로케이션 촬영이 이루어졌다.
슈퍼 파나비전 70으로 촬영되었으며, 촬영 감독은 프레디 영이 맡았다. 브로니슬라프 케이퍼가 작곡한 영화 음악에는 가믈란 연주자들이 참여했다.
1971년 인터뷰에서,[4] 주연 배우 피터 오툴은 캄보디아 로케이션 촬영의 어려움에 대해 "지옥 그 자체"였다고 회상했다.
4. 1. 캄보디아 로케이션
영화 제작진과 배우들은 캄보디아 통역가 딧 프란과 함께 했다. 그는 캄보디아인과 영화 제작진, 배우들 사이의 연락을 담당했다.[4] 딧 프란은 1975년 공산주의 정권 장악 이후 투옥되었다가 캄보디아를 탈출했다. 이 이야기는 1984년 영화 ''킬링 필드''에서 하잉 S. 응고어가 프란 역을 맡아 다루어졌다.[4]5. 평가
영화는 개봉 당시 좋지 않은 평가와 미미한 흥행 성적을 기록했다. 보즐리 크라우더는 ''뉴욕 타임스''에서 ''로드 짐''을 "콘래드도 아니고 순수한 오락 영화도 아니다"라고 평했다.[5] 그는 또한 피터 오툴의 연기에 대해서도 "특히 마지막 부분에서 너무 침울하고, 축축하며, 확신이 없어 그와 접촉할 수 있는 인식 가능한 감수성을 찾기가 어렵다"라며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5] ''버라이어티'' 또한 "브룩스는 그것을 완전한, 제한 없는 모험담으로 만들 것인가, 아니면 콘래드가 쓴 매혹적인 심리 연구로 만들 것인가 사이에서 갈팡질팡했다"라며 비슷한 비판을 가했다.[6] 오툴의 연기는 "자기만족적이고 진정한 깊이가 부족하다"라고 묘사되었다.[6]
캄보디아 국가 원수이자 전 국왕인 노로돔 시아누크는 영화가 캄보디아를 묘사하는 방식에 불만을 품고[7] 1966년, 자신의 첫 장편 컬러 영화인 ''압사라''를 제작하여 이에 대응했다.
이 영화는 로튼 토마토에서 14명의 평론가 리뷰를 바탕으로 57%의 평점을 기록하고 있다.[8] 이 점수는 미국 영화 연구소의 2005년 목록 AFI's 100 Years of Film Scores에 후보로 올랐다.[9]
''로드 짐''은 2000년 영화 보존 아카이브에 의해 보존되었다.[10]
6. 한국어 번역
조지프 콘래드의 소설 Lord Jim영어은 카와이데 문고에서 시바타 모토유키의 번역으로 2021년에 출간되었다. ISBN 978-4-309-46728-3
7. 기타
참조
[1]
잡지
Big Rental Pictures of 1965
Variety
1966-01-05
[2]
잡지
Variety film review
Variety
1965-02-24
[3]
뉴스
Novel by Halevy Will be Filmed: 'The Young Lovers' Slated for Production by Samuel Goldwyn Jr. This Year 'Lord Jim' Acquired Of Local Origin
New York Times
1957-03-04
[4]
잡지
Photoplay Film Monthly
1971-02
[5]
뉴스
Screen: Conrad's 'Lord Jim' Arrives: Peter O'Toole Stars in Brooks Version
https://movies.nytim[...]
The New York Times
2009-07-26
[6]
웹사이트
Lord Jim
https://variety.com/[...]
Variety
2022-11-17
[7]
서적
Sihanouk: Prince of Light, Prince of Darknes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4
[8]
웹사이트
Lord Jim
[9]
웹사이트
AFI's 100 Years of Film Scores Nominees
http://www.afi.com/D[...]
2016-08-06
[10]
웹사이트
Preserved Projects
https://www.oscars.o[...]
[11]
만화책
Gold Key: Lord Jim
Grand Comics Database
[12]
잡지
Big Rental Pictures of 1965
Variety
1966-01-05
[13]
잡지
Variety film review
Variety
1965-02-24
[14]
웹사이트
伊丹十三さんのモノ、コト、ヒト。15
https://www.1101.com[...]
ほぼ日刊イトイ新聞
2021-12-19
[15]
웹사이트
斎藤 達雄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1-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